#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, "과징금 상향 방안 추가 검토" 밝혀 발행일: 2025-09-03 11:36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**과징금** 상한을 추가로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혀 주목받고 있습니다. 이는 현재 시행 중인 과징금 부과 상한 상향 조치에도 불구하고, 제재의 실효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의지로 풀이됩니다. ### 과징금 상향 검토 배경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실에 따르면, 주 후보자는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답변에서 과징금 상한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. 그는 제재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**과징금** 상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한 것입니다. 공정거래위원회(공정위, Korea Fair Trade Commission)는 이미 2021년 12월, 위법 행위에 대한 제재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과징금 부과 상한을 2배로 올리는 개정 고시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. 하지만 주 후보자는 취임 후 이 개정 고시의 실효성을 면밀히 분석하고,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상향 조치를 고려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### 플랫폼 피해 지원 및 기금 활용 방안 주 후보자는 플랫폼 피해 업체를 지원하는 재원으로 공정위가 징수한 과징금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습니다. 그는 "공정위 과징금에는 부당이득 환수 성격도 있는 만큼 과징금 일부를 피해구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"고 밝혔습니다. 특히 불공정거래로 경영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이나, 티메프(T-MEP) 사태와 같이 예상치 못한 대규모 소비자 피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산보다 탄력적인 기금 운용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### 전속고발권 폐지 논의에 대한 신중한 입장 공정거래법 위반 등 일부 사건에 대해 공정위의 고발이 있어야 검찰이 기소할 수 있는 **전속고발권** 폐지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. 주 후보자는 "현 단계에서는 시급한 민생 현안과 우선순위 측면에서 전속고발권 폐지 논의를 재점화하기엔 이른 시점"이라고 답변했습니다. 다만 그는 "검찰개혁, 공정위 법 집행 역량 강화 등 새 정부 국정과제와 함께 종합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"며, 의무고발요청제 내실화 및 적극적인 고발권 행사를 통해 불공정행위 감시·감독을 강화할 것임을 밝혔습니다. ### 공정위 심사 지연 문제 해결 의지 공정위 심사가 지나치게 오래 걸린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집행권한 이양, 조사역량 효율적 운영, 조사·심의 인력 확충, 전문성 강화 등을 통해 사건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## 용어해석 - **과징금:** 행정법규 위반에 대해 부과되는 금전적 제재. 위반 행위로 얻은 이익을 환수하고, 유사 행위의 재발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짐. - **전속고발권:** 특정 범죄에 대해 검찰이 기소하기 전에 반드시 특정 기관의 고발이 있어야 하는 권한. 공정거래 분야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전속고발권을 가짐. - **티메프(T-MEP) 사태:** 특정 이동통신사의 앱 마켓에서 발생한 대규모 소비자 피해 사건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되나, 정확한 내용은 추가 정보가 필요함. (주: 원문에 상세 내용이 없어 일반적인 해석을 제공합니다.) ##### TAG #공정거래위원회, **#과징금**, **#전속고발권**, **#플랫폼피해**, **#주병기**